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시사과학 따라잡기] 우리나라 항공우주기술은 어느 정도 |  | |
| 유인우주선을 발사한 중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우주기술은 한참 뒤쳐져 있다.
흔히 우주기술의 3박자라고 하면 위성과 위성발사체, 발사장을 말한다.
위성 기술의 경우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 자체 기술로 소형 과학기술위성을 제작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그 동안 우리별 1ㆍ2ㆍ3호(과학기술위성)와 무궁화 1ㆍ2ㆍ3호(통신위성) 등이 발사됐지만 대부분 외국에서 사들인 것이거나 주요 부품이 외국산이었다.
유인우주선을 제작한 중국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발사체 분야는 더욱 뒤 떨어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액체추 진로켓 KSR-Ⅲ 시험발사에 성공했지만 초보 수준의 발사체에 불과하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산 위성발사체인 KSLV-Ⅰ을 제작하고 있지만 엔진과 소재 기술은 외국에서 들여와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2005년 말 전남 고흥군에 발사장(우주센터)이 완공되면 한국의 항공우 주기술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센터 완공과 함께 순수 우리 기술로 제작된 과학기술위성 2호를 KSLV-Ⅰ에 실어 발사하게 되면 초보수준이지만 발사장, 위성, 발사체라는 항공우주기술의 3박자를 갖추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의 우주기술 수준은 기반기술 확보단계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과기부 관계자는 ˝우주기술을 제대로 개발하려면 엄청난 돈을 투자해야 한다˝ 며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중국과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 있다˝ 고 지적했다.
지난 60년대 항공우주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 중국과 90년대 초에야 첫 위성 을 발사한 한국의 차이는 대학생과 초등학생 차이라는 게 과학기술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김인수 기자>
< Copyright ⓒ 매일경제 >
by http://cafe.daum.net/astronomical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