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양약을 오래 먹으면 위장 버린다
약에 관해서 ´약 좋다고 남용말고 약 모르고 오용말자´라는 표어가 많이 알려져 있다. 이 말대로 실천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관한 정확한 판단은 심지어 의사들까지도 어려움을 느낄 때가 많다. 물론 이런 어려운 경우를 이야기 하려는 것은 아니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잘못 알고 있는 것에 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우선 아플 때 약을 먹을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대게는 본인이 잘 알아서 결정을 하는데, 개중에는 극단적인 편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예를 들어 ´약은 먹으면 먹을 수록 내성이 생겨 점차 양을 늘려가야 효과를 볼 수 있게 되므로 가능하면 약을 먹지 않고 버티는 것이 나중에 많이 아플 때를 위해 도움이 된다´느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정말 입원이라도 하기 전에는 결코 약을 먹지 않고 견디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되도록이면 약을 먹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좋으냐 나쁘냐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로 치더라도, 약이라는 것은 먹으면 점차 내성이 생긴다고 하는 생각은 잘못 된 것이다. 무수히 많은 약들 중에 이렇게 내성이 생기는 약은 얼마되지 않으며, 이런 약들은 따로 구분이 되어 있다. 이런 약들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약들은 먹는다고 해서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또 ´약 특히 양약은 오랫동안 복용하면 위장을 버린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심지어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이 있어서 평생토록 약을 먹어야 하는데도 이런 생각 때문에 약을 중단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이것도 잘못된 생각이다. 우선 약 중에는 먹으면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약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약이 더 많다. 그러므로 의사가 특별히 주의를 주거나 아니면 약을 먹고 소화장애 등이 일어나는 겨우라면 조심을 해야 할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의사가 권유한 약은 오랫동안 먹어도 위장애 별 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고 또 생각해야 할 것은 약을 먹지 않을 때 생기는 위험성문제이다. 다시 말해 약을 먹어서 위장장애가 생긴다고 할지라도, 약을 먹지 않으면 더 큰 위험이 생길 경우에는 위장장애를 감수하고서라도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가 약을 장기간 먹도록 권유할 때는 이런 것들을 모두 고려하고 권유하는 것이다.

반대로 약을 지나치게 맹신하는 사람들도 있다. 약이 마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사람의 몸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는 것이다. 가령 ´피로를 풀어 주는 약´이라거나 ´담배를 피워도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예방하는 약´, 심지어는 ´밥을 잘 먹는 약´ 같은 것이 있다고 믿는 것이다. 약은 인체와 조화를 통해서 그 효과를 내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약을 먹으면 이것이 우리 몸에 들어가 우리 몸의 기능을 최대로 발휘하게 하는 것이 약의 효과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원래 우리 몸이 하지 못하는 일은 약을 먹어도 잘 되지 않는다. 이것은 마치 ´칼에 찔려도 피가 나지 않는 약´이나 ´총에 맞아도 죽지 않는약´이 있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피곤할 때는 쉬어야 하고 담배를 피울 때는 건강이 나빠질 것을 각오해야 한다.

약을 너무 간단하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특히 잘못된 선입견을 바탕으로 꼭 필요한 치료약을 무시해서는 안 되겠다.


by http://www.healthkorea.net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