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스캇펙 박사의 아직도 가야 할 길 |  | |
| ˝아직도 가야할 길˝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수많은 도전에 부딪힌다. 한 발짝 도약해야 할 때, 두려움 때문에 그냥 뒤쳐지고 만 경험은 혼자만의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어려운 고비 앞에서 서성거리지 말자. 그 대신에 고통스런 현실을 뛰어넘을 힘을 주는 <아직도 가야할 길>을 읽자.
스캇 펙은 정신분석의로 수년간 상담한 경험을 토대로 이 책을 썼다. 제목 ´아직도 가야할 길´은 우리가 곧잘 무시해 버리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전에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음을 역설적으로 강조한 것이다.
문제에 직면하는 것은 언제나 고통스럽다. 만일, 누군가 당신은 남보다 업무능률이 떨어지고, 수줍음이 많으며, 의사소통에서 늘 좌절감을 겪는다고 이야기한다면 조용히 경청하기 보다는 ´그렇지 않아!´라고 외치고 싶을 것이다.
스캇 펙은 자신의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은 자유로부터 도피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한다. 문제점을 발견했을 때 누구든 거기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그러기 위해서는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그가 제시하는 훈련 지침은 다음과 같다.
1/ 진실을 대했을 때, 자기 희생을 무릅쓰고라도 진실에 충실할 것
2/ 거짓말 하지 말 것
3/ 진실을 숨기지 말 것
4/ 상충되는 필요 사이에서 융통성있게 균형을 잡을 것
이와 함께 꼭 필요한 것이 책임감이다. 책임감은 한 사람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으로 확장시키는 촉매 역할을 한다. 혼자일 때 보다는 함께할 때 사람들은 더 많은 능력을 발휘한다. 사랑이 뒷받침될 때는 특히 그렇다.
스캇 펙은 사랑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데 2장을 온전히 할애한다. 그에 따르면, 사랑이란 ˝자기 자신이나 혹은 타인의 정신적 성장을 도와줄 목적으로 자기 자신을 확대시켜 나가려는 의지˝이다. 또한 사랑은 표현되는 만큼, 즉 ˝행동하는 만큼만˝ 사랑이다. 책임감이 없이는 참사랑을 할 수 없다는 것.
사랑한다는 것은 ˝서로가 없어도 잘 살 수 있지만 더 잘 살기 위해 상대방과 함께 살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때문에 사랑을 핑계로 상대에게 의존하는 것은 참사랑이라 할 수 없다. 수동적인 자세로 사랑을 바라고 행복을 기대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책임을 방기하는 일이다. ˝건전한 결혼은 오직 강하고 독립된 두 사람 사이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이처럼 독립된 정신과 마음가짐을 견지하지 않으면 자기희생이 곧 사랑이라는 환상에 빠지기 쉽다. 남편을 위해서 대신 무언가를 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 참사랑은 압도되는 느낌이 아니라 ´선택´이기 때문이다.
사랑을 위한 훈련으로 스캇은 ´대화하기´를 꼽는다. 상대방의 말을 열심히 듣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무척 어렵다. 그래서 사랑은 부지런한 자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이며, 끊임없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랑은 행동하는 만큼만 사랑이다˝.
(스캇은 결혼을 산 정상에 이르기 위한 베이스 캠프에 비유한다. 결혼, 그 자체로 정상이라고 생각한다면 아직도 가야할 길을 스스로 멈추게 되는 것이다.)
고로, 참사랑과 성장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사랑을 하는 동안은 누구나 성장한다. 그러나 그 과정은 순탄치 않다. 사랑에 빠져 진실을 보지 못하고 책임을 방기할 가능성이 많으며, 무엇보다 사랑이 훈련이란 점을 늘 간과하기 때문이다.
어제도, 오늘도 우리는 ´아직도 가야할 길´ 위에 서 있다. 정신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이 길은 곧 끝난다. 아직도 더 갈 수 있는 여행을 이쯤에서 그만 둘 것인가, 아니면 계속 갈 것인가? 선택은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다.
다만, 아직도 가야할 길을 너무 일찍 그만 두지는 말자. 이 고통스럽고 두려운 여행을 계속할 때, 우리는 누군가에 기대지 않는 바로 자기 자신일 수 있기 때문이다. - 최성혜
by www.aladdin.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