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달에 울다 |  | |
| <달에 울다>
달에 울다?
제목이 어법에 맞지 않아 무슨 뜻인지 가물가물 합니다. 가물가물하다는 말은 물 위로 힘차게 경쾌하게 기분좋게 차오르는 날치보다는 물 위로 고개를 조금 내밀 뿐 좀처럼 몸 전부를 보여 주지 않는 어미 고래 같단 말입니다. 그래도 고래는 어쩌다가라도 그 육중한 몸을 공중으로 띄우는 때가 있는데, 이 제목은 좀체로 의미가 포착되지 않습니다. 달에 대하여 생각하다가 울다? 달에 눈길을 주다가 울다? 뭐 그런 뜻이겠지, 막연히 생각할 뿐.
병풍에 그려져 있는 그림과 그 병풍 앞에 누운 사람의 변해가는 모습을 통해서 이 소설의 흐름을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10살- 30년 전- 봄- 어스름달- 갈대- 볏집을 채운 요
20살- 20년 전- 여름- 초승달- 초록 풀- 싸구려 담요
30살- 10년 전- 가을- 청명한 명월- 초원- 호사스러운 이불
40살- 현재- 겨울- 잘 갈아진 겨울달- 호수- 전기담요와 전기요.
그러니까 주인공은 소년 시절에는 ˝볏집을 채운 요˝를 깔고 쪼그리고 누워 ˝어스름달˝을 보며 자랐고, 서른 무렵에는 ˝호사스러운 이불˝과 ˝청명한 명월˝을 보며 살았군요. 마흔을 묘사하는 ˝잘 갈아진 겨울달˝과 ˝호수˝는 무엇일는지. 아직 마흔이 안 되어서 못 느끼는 것일까요?
그거 기억 나시나요?
씨뿌리는 20대도
가꾸는 30대도
아주 빠르게 흘러
거두는 40대 이랑에 들어서면
가야 할 길이 멀지 않다는 걸 안다
방황하던 시절이나
지루하던 고비도 눈물겹게 끌어안고
인생의 지도를 마감해야 한다
고 말한 사람은 지리산에서 죽어간 저 시인 고정희입니다. 세상에, 마흔만 되면 벌써 가야 할 길이 멀지 않다고 말하다니. 아직 진짜 인생은 시작되지도 않은 것 같은데, 곧 떠날 준비를 해야 한다니. 아직 하고 싶은 일들이 그렇게 많은데. 좀 심하죠?
그림 속의 사실과 실제 현실 사이의 경계가 지워집니다. 이걸 겐지는 이렇게 말
합니다. ˝어느 것이 진짜 현실인지, 그런 건 아무도 말 못해.˝(새조롱을 드높이) 그렇군요. 주관적인 생각과 객관적인 현실이 거의 구분이 없습니다. 머리 속의 추측이 곧바로 현실이 되고 기정사실이 됩니다. 현재인가 싶더니 어느새 과거, 추측인가 싶더니 어느새 현실! 아니면 적어도 겐지에게는 현실은 생각이 번져서 된 무엇입니다. 참 신기하죠? 생각이 번지면 현실이 된다니. 아마도 겐지의 소설이 매력있게 느껴진다면 아마 이런 맛 때문일 겁니다.
이런 느낌은 어쩌면 정호승의 시 <별똥별>과 닮았습니다.
밤의 몽유도원도 속으로 별똥별 하나가 진다
몽유도원도 속에 쭈그리고 앉아 울던 사내
천천히 일어나 별똥별을 줍는다
사내여, 그 별을 나를 향해 던져 다오
나는 그 별에 맞아 죽고 싶다.˝
(<별똥별> 전문)
형식 자체가 참 독특합니다. 그 여백. 시에서의 연(聯)과 같은. 이끄는 문장 하나, 그리고 거기에 딸린 한 단락짜리 부연 설명. 이런 형식은 강제로 독자의 호흡을 끊어 놓습니다. 내용은 계속 이어지는데도 억지로 떼어 놓았습니다. 저는 이걸, 대충 지나치며 읽지 말아 달라는 주문으로 받아들입니다. 몇 줄 읽고 한참 생각하고, 또 몇 줄 읽고 한참 생각해 달라는 주문. 라면이나 물국수 먹듯 후루룩 읽어 치우지 말고 제발 곰곰 생각하면서 읽어 달라는 주문. 어쨌든 여운이 있어서 좋습니다.
힘들게 힘들게 자신 속의 무엇과 싸우는 게 느껴집니다. 그 싸움이 없어지면 편안해질까요? 아닐 겁니다. 그런 싸움이 있고서야 비로소 삶이 빛나는 것 같습니다. 그럴 겁니다. 자꾸 싸우고 싸우면 무엇인가가 확인되고, 그러한 확인들이 쌓여서 삶의 어둡던 구석들이 조금씩 밝아지는 것일 겁니다.― 그런 느낌을 주는 책이군요.
˝아아, 좋은 꿈을 꾸었어.˝ 나에게도 이 말이 마지막 말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