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산소리 |  | |
| 가와바타 야스나리 : <산소리>
역자 : 신인섭 / 출판사 : 웅진출판주식회사 / 출판일 : 1995/4/1 / 쪽수 : 328
<죽음 앞에서 강렬해지는 어느 노인의 욕망>
현실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일들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사실은 , 분명 소설 읽기의 큰 줄거움 중에 하나이다. ‘만약 내가 여자로 , 혹은 남자로 태어났다면?’과 같은 이룰 수 없는 일들을 우린 소설 읽기를 통해 이루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산소리>를 대하는 우리는 이 소설 읽기를 통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되는데, 이 소설은 그 중에서도 ‘만약 내가 지금 노인이라면?’이라는 평소에 그다지 생각해보지 않은 색다른 경험을 하게 해준다.
오가타 싱고는 아내와 결혼한 두 남매를 갖고 있는 겉으로 보기엔 평범한 노인이다. 하지만, 싱고, 그리고 그를 둘러싸고 있는 가족들은 결코 평범하지 않다. 과거 연모했던 연상의 여인이 갑자기 죽자 그녀의 동생 야스코를 아내로 맞은, 그리고 며느리 기쿠코에게 미묘한 감정을 갖고 있는 싱고, 아내가 덜 성숙했다고 생각해 전쟁에서 남편을 잃은 여자와 바람을 피는 아들 슈이치, 남편과 이혼하고 두 아이를 데리고 친정으로 돌아온 딸 후사코, 이처럼 이 소설에 등장하는 세 쌍의 부부는 결코 평범하지 않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 사이에서 자신의 왜곡된 감정을 숨긴채 자식들의 내적외적 모순들을 조율하기 위해 애쓰는 싱고의 모습에 주목하게 된다. 그를 주의깊게 바라보면 우리 이내 이러한 그의 모습은 그를 덮어싸고 있는 표피에 불과함을 깨닫게 된다.
싱고는 블라드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를 통해 알려진 일종의 롤리타 컴플렉스를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어릴 적 첫 애인의 죽음의 충격으로 육체적 나이만 늘어갈 뿐, 욕망의 해소대상은 그대로 어린 소녀에 머무르게되 롤리타에 집착하는 험퍼트 험퍼트와 싱고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어릴 적 연모했던 연상의 여인의 돌연한 죽음의 충격을 그녀의 동생과 결혼함으로써 벗어나려 했던 싱고는 그녀와의 결혼 생활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왜곡시키는 결과만 낳았다. 아름다웠던 연상의 여인을 잊지 못해, 그에 대한 대리 욕망으로 딸이 이쁘게 태어나길 바랬고, 결국엔 평범한 외모를 가진 아이로 태어난 딸에 대한 실망한 싱고의 모습은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해소되지 않는 그의 왜곡된 욕망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기에 며느리 기쿠코의 모습에서 과거 사랑했던 여인의 모습을 보는 싱고를 우리는 그저 며느리를 귀여워하는 인자한 사아버지의 모습보다는 롤리타에 대한 집착으로 귀로워하는 험퍼트 험퍼트의 모습으로 보게된다. 이 소설은 언뜻 보기엔 한 집안의 가족사를 싱고의 눈을 통해 담아내고 있는 것 같지만 그 안에는 욕망의 역사가 꿈틀대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우리는 <산소리>에서 싱고가 꾸는 9개의 꿈을 어떤 느낌으로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머뭇거리게 된다.
해몽소설이다라 불러도 좋을 만큼 이 소설에는 꿈이 많이 등장하는데, 작가는 꿈을 통해 은밀하게 감추어져 있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주려 하는 것이고, 현실의 터부를 지니고 살아가는 우리는 그의 꿈의 해석을 감히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소설 곳곳에 파묻힌 성의 기호를 발견하고 모럴로부터 해방되어 위험한 유희를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놀라게 된다.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의 욕망은, 그 끝, 죽음 앞에서 더욱 강렬해진다.
싱고가 죽음의 소리가 아닌가 생각하는 소설의 제목 ´산소리´는 싱고의 내면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욕망의 흐름을 더욱 거세게 만드는 존재인 것이다. 죽음 앞에 대면한 욕망, 이것이 바로 싱고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인 것이다. 하지만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블라드미르 나보코프처럼 파국적인 결말을 이끌어내진 않는다.
이것이 여느 소설과 구별되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일본 소설의 특색이겠지만, 몸 밖으로 분출된 욕망으로 인해 파국적 결말을 맞는 험퍼트 험퍼트보다는 첨예한 갈등 속에서 위태로운 균형을 유지해나가는 싱고의 모습에서 우리는 더욱 강렬한 욕망의 모습을 보게 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