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류시화 -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 을 읽고
˝여행은 우리를 겸허하게 합니다. 세상에서 내가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 얼마나 작은가를 두고두고 깨닫게 하기 때문입니다.˝
플로베르라는 사람이 한 말이다. 여행... 누구나 한번쯤은 인생에 있어서 죽는 순간까지 기억에 남을 만한 멋진 여행을 꿈꿔봤을 것이다. 힘든 현실을 벗어나 일상에서는 느껴보지 못했던 것들을 느낄 수 있는 것, 태어나 한번도 발 디뎌본 적 없는 곳에서 맞아보는 싱그런 풀잎 내음의 푸른 아침공기, 늘 보는 것이지만 무언가 더 특별히 와 닿는 신비로운 진홍색의 저녁노을, 무심히 지나가는 사람들조차 모두 낯익어 보이는 것, 자신이 살아있음을 진정 느낄 수 있는 것. 이 모든 것들이 여행이란 두 글자 속에서 느낄 수 있는 또 하나의 유토피아가 아닌가.
세상에는 두 가지의 책이 있다. 두고두고 보고 싶은 책과 한번 보기도 힘이든 책. 그 중 전자에 속하는 것 중 하나로 나는 류시화님의 인도여행기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을 꼽고 싶다.
이 책의 제목으로 보면 작가는 하늘 호수라는 이름만큼이나 깨끗하고 예쁜 곳에서 이제껏 느껴보지 못했던 천상의 행복함을 뿌리 끝 속까지 한껏 품어봤을 것 같다. 예를 들면 동아시아 어느 곳의 잘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대륙이라든가 넓은 바다 어디엔가 떠 있는 유리구슬같이 투명한 섬이거나 한 것 말이다. 하지만 류시화님이 다녀온 곳은 우리가 늘상 꿈꿔왔던 축소판 유토피아가 아니라 아시아 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그다지 아름답다고는 할 수 없는 인도라는 거대한 대륙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류시화는 왜 굳이 인도를 하늘 호수라는 예쁜 단어로 비유했을까? 다른 곳보다 결코 깨끗하거나 아름답다고 할 수 없는, 손으로 밥을 퍼먹고 거리엔 소들이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인도. 소매치기들이 판을 치고 독특하고 강한 향료 때문에 여행객들이 음식 때문에 애를 먹는다는 곳. 우리 나라 한 여름을 훨씬 웃돌고 남을 듯한 타는 듯한 더위와 불덩이처럼 작열하는 태양 아래 마실 것조차 제대로 없는데다 제일 경악스러운 건 화장실에서 휴지보단 왼손을 거의 대부분 국민들이 당연하단 듯이 사용하고 있다는 곳. 그래서 밥도 오른손으로 먹는다고 하지 않는가. 하지만 이러한 물음은 이 책을 조금만 넘기다 보면 자연스레 해결된다.
˝크게 포기하면 크게 얻는다.˝
이 책 속의 어느 인도인이 한 말이다. 책을 한 장 한 장 넘겨가며 인도인들은 내가 이제껏 알아왔던 사람들과는 다른, 그 사람들이 가질 수 없는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태어날 때 그대로의, 마치 갓 피어난 백합꽃잎처럼 깨끗하고 순수한 마음, 다른 사람의 것을 욕심 내어 탐하지 않고 다른 이를 먼저 생각할 줄 아는 고운 마음 씀씀이, 급박하고 어지러운 세상 속에서 그들만이 가질 수 있는 그들만의 여유로움과 단순한 듯 하면서도 많은 것을 담아내고 있는 그들만의 사상 등등, 실로 인도인들 모두는 작은 성인 군자 한 명씩을 가슴에 보듬어 안고 살아가는 것 같았다. 그리고 그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진솔한 삶의 깨달음과 무언가가 가슴 깊숙이부터 치밀어 오르는 듯한 따스함. 이 모든 것이 류시화님에게 인도를 하늘 호수라는 예쁜 곳으로 보이게 하지는 않았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으로 인도라는 곳을 여행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큰 대륙만큼이나 다양한 그들의 문화, 작은 것에 감사할 줄 알며, 순박하며 거짓 없는 솔직한 웃음을 아무렇게나 지을 수 있는 그들. 류시화에게 인도라는 곳을 하늘 호수라 생각하게끔 한 그 무엇을 직접 피부 깊숙이 느껴보고 싶었다.
점점 다가만 오는 수능일과 목을 죄여오는 듯한 압박감, 어느 곳에서나 학생이란 이름으로 구속되어야만 하는 자유들, 희미한 안개처럼 퍼져만 가는 혼자인 듯한 외로움, 폭풍우가 몰아치는 바다 한가운데에 표류되어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앞을 향해 홀로 항해하는 듯한 어두운 불안감, 마치 가도가도 닿을 수 없는 수평선을 향해가는 듯한 알 수 없는 절망감. 이런 현실 속에서 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점점 지쳐만 가다 결국 모든 것을 포기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두려움에 떨어본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선 많은 것에 변화가 생긴 것 같다. 인생은 기차와 같다는 누군가의 말처럼 지금은 비록 깊고 어두운 터널을 지나가고 있지만 조금 더 가다보면 높은 하늘과 푸른 바다와 더 아름다운 세상을 만날 때도 있을 것이란 생각을 가질 수 있었다.
˝눈에 눈물이 없으면 그 영혼에는 무지개가 없다.˝
이 말 역시 어느 인도인이 한 말이다. 따뜻한 정과 점점 잃어만 가는 인간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을 살아가는 동안 어느덧 그 속에 물들어 가버린 나에게 있어 이 책은 나의 눈에 눈물을 가져다 줌으로써 내 영혼 속에 예쁜 무지개를 그려다 준 것 같다.



Copyright(c) 1999-2002 kang ki ryoung www.korstudy.com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