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좋은시,훈화,연설문,명언,독서감상문,독후감,사자성어,속담

처벌해야 하는지 아니면 처벌하지 않아야 하는지가 의심스러우면 죄의 가벼운 쪽을 택해 처벌하고.
천리(天吏), 즉 하늘을 대신하여 정치를 하는 관리가 도덕을 등지게 되면 그 미치는 재앙은 맹화(猛火)보다 더 맹열하다. 윤정(胤征)이 한 말. -서경
천명(天命)은 그 사람에게 내린다고 정해진 것은 아니다. 하늘의 도움은 덕의 있고 없음에 따른다. 이윤(伊尹)이 태갑(太甲)에게 한 말. -서경
천명을 보전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그 천명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 때문이다. 주공(周公)이 한 말. -서경
천명(天命)이 내릴 때 만일 힘이 같을 경우에는 그 사람의 덕의 정도로써 높은 쪽이 선택될 것이고, 덕이 같은 정도라면 의(義)의 정도로써 선택될 것이다. 무왕(武王)의 서언(誓言). -서경
천체의 운행 상황을 자세히 밝혀서 백성들의 농사가 잘못되지 않게 교시한다.
천하가 통일되어 바다 끝에서 해가 나오는 땅까지 모든 자가 그 사람을 좇지 아니함이 없다. 문왕(文王)의 업을 찬양하여 주공(周公)이 한 말. -서경
천하의 백성이 모두 생활이 궁핍한 일이 생기게 되면 천자의 자리도 영원히 잃게 된다. 순(舜) 임금이 한 말. -서경
첫째는 백성의 도의심을 바르게 한다.
최고의 정치가 풍기는 좋은 향기는 신명을 감동시키는 것이다.
큰 강을 건너는 데는 배가 없으면 건널 수가 없다.
팔정(八政). 정치상 힘써야 할 여덟 가지 일.
하늘은 모든 일을 귀밝게 듣고 눈 밝게 본다.
하늘은 순일무구(純一無垢)한 덕이 있는 자를 마음에 돌아보고 구해서 신(神)에게 제사지내는 주인, 즉 제왕으로 삼았다. 일덕(一德)은 순일(純一)의 덕. -서경
하늘은 인간에게 도덕이나 지식을 명해서 내리고 운명의 길흉을 명해 내리고 또 생명의 장단을 명해서 내린다. 모든 것은 하늘이 시키는 것이다. 성왕(成王)이 한 말. -서경
하늘은 인간이 지켜 나가야 할 다섯 가지의 상도(常道)를 두었다. 그 다섯 가지 오전(五典)을 바르게 지켜야 한다. 오전(五典)은 군신, 부자, 장유, 붕우의 지켜야 할 모습. -서경
하늘은 특별히 친한 사람이 없는 법이다. 근신하여 몸을 닦고 또 삼가야 할 일만 하는 자만을 친하고 보호해 준다. 태갑(太甲)에게 훈계하여 이윤(伊尹)이 한 말. -서경
하늘은 특히 사람을 골라서 친하지는 않는다. 단지 덕(德)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구별없이 도운다. 주공(周公)이 한 말. -서경
하늘의 도(道)는 지극히 밝은 것이다. 천도(天道)는 결코 잘못되는 일이 없다. 그 도에 따르면 번영하게 되고 그 도에 따르지 않으면 망한다. -서경
하늘의 운수, 즉 천명은 너의 몸에 갖추어져 있다. 순(舜) 임금이 우(禹) 임금에게 자리를 물려 줄 때 한 말. 역수(歷數)는 세시(歲時)의 순서, 여기에서 천자의 자리를 이어갈 순서. -서경
하늘이 내린 화는 피할 수가 있지만 스스로 저지른 잘못은 피할 길이 없다. 태갑(太甲)이이윤(伊尹)에게 한 말. -서경
하늘이 사람에게 수명을 내리는 것에는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다. -서경
하늘이 우(禹) 임금에게 천하를 다스리는 근본 원칙 아홉 가지 항목으로써 길을 지시했다. -서경
하늘이 은(殷) 나라를 망하게 한 것은 마치 농부가 밭에서 잡초를 베어 없애는 것과 같다. 은 나라는 하늘이 버린 것으로 당연히 망해야 했다. -서경
하늘이 재앙을 내리는 것도 복을 내리는 것도 그 사람의 덕 여하에 달려 있다. 태갑(太甲)에게 경계하여 이윤(伊尹)이 한 말. -서경
하늘이 할 일을 사람이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자기의 직분을 천직이라고 생각하라. 고요(皐陶)가 한 말. -서경
하루나 이틀이라는 짧은 사이에도 세상이 변화하는 조짐은 무수하게 있는 것이다. 방심해서는 안 된다는 말. 고요(皐陶)가 한 말. -서경
학문을 하는 데에도 덕행을 하는 데에도 순서라는 것이 있다. 태갑(太甲)에게 경계하여 이윤(伊尹)이 한 말. -서경
학문이 없으면 마치 담벽을 향해 있는 것 같다. 안쪽의 상세한 것은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 즉 학문을 하지 않으면 근본의 이치를 모르게 된다. 성왕(成王)이 한 말. -서경
항상 심히 두려워하고 근심하고 있다. 즉 혹시 잘못이 있어 왕으로서의 직분을 다할 수 없게 되지나 않을까 하여 두려워하고 있다는 말. -서경
항상 준비만 충분히 해 두고 있으면 결코 걱정할 것은 없다. -서경
현자를 등용함에 있어 그를 의심하지 않는다. 간사한 자를 배척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익(益)이 한 말. -서경
형벌의 종극(終極)은 형벌을 바르게 세워서 형벌이 필요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우(禹) 임금이 한 말. -서경
황극(皇極). 황(皇)은 크다는 뜻이고 극(極)은 바른 도(道)를 말하는 것이다.
공경하는 마음이 게으른 마음을 이기면 길하고 게으른 마음이 공경하는 마음을 이기면 그 결과는 멸망하게 되는 것이다. 단서(丹書)에 있는 말. 단서(丹書)는 주(周) 나라 무왕의 스승인 태공망(太空望)이 무왕(武王)에게 고한 서(書). -소학
관리는 지위가 생기면 게으름을 피우게 된다. 병이 조금 낳을 만하면 마음을 놓아 오히려 중하게 되기 쉽다. 증자(曾子)가 한 말. -소학
군자의 마음은 바다처럼 깊고 넓으며, 물처럼 담백한 것이다. 범질(范質)이 그의 조카에게 가르친 시구. -소학
근본이 상하게 되면 거기에 따라서 가지도 죽게 된다. 먼저 근본을 튼튼히 해야 한다. 공자가 한 말. -소학
나는 글씨를 잘 쓰고자 하는 생각은 없다. 단지 글씨를 쓰는 것이 학문이라 믿고 쓰고 있을 뿐이다. 정명도(程明道)가 한 말. -소학
나는 임관 이래 항상 다음 네 글자를 지켜왔다.
널리 배우고 연구하지만 연구한 것을 곧 남에게 가르치지는 마라. 더욱 깊이 연구하여 마음속에 간직해 두어야 한다. -소학
딸을 시집보낼 경우에는 자기 집보다 좋은 집안을 골라야 한다. 호안정(胡安定)이 한 말. -소학
대담한 것이 필요하다. 한편 소심하고 주의깊은 것도 필요하다. 지식은 둥글고 원만해야 하고 행동은 일정한 규범이 있고 강직해야 한다. 손사막(孫思邈)이 한 말. -소학
뜻을 세움이 높지 아니하면 그 이루어짐이 모두 범상인(凡常人)의 것뿐이니라. -소학
백조의 형태를 새김에 있어 이루지 못하더라도 따오기 비슷한 것이라도 된다
벼슬을 하는 사람이 지켜야 할 세 가지 덕목이 있다.
부모가 나를 완전하게 낳아 주셨다.
부모가 생존해 있는 동안에는 결코 먼 곳으로 놀러 가지 마라. 만일 놀러 가게 되거든 그 행방을 밝혀 두어야 한다. -소학
세상 사람들은 모두 친구와 서로 잘 사귀고 친하게 지내기를 바라고 있다.
세상에는 일반적인 풍속과 다른 기묘한 이름을 구하는 수가 많으나 이런 일은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한 말. -소학
세상에 밝게 드러날 것이라 해서 자기의 신절(信節)을 한층 더 힘쓰지 않고 세상에 드러나지 않고 으슥할 것이라 해서 자기의 행동을 게으르게 하지 않는다. 거백옥(遽伯玉)을 칭송하여 위(衛) 나라 영공부인(靈公夫人)이 한 말. -소학
세상에서는 선물을 하거나 혹은 사람을 대우할 경우 물질이 많은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은 물질은 박하더라도 정(情)이 두터운 것이 한층 중요한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한 말. -소학
아직 일어나지 않는 일을 이렇다 저렇다 하고 앞질러 생각하는 것은 삼갈 일이다. 자신도 애쓰거니와 상대에게도 마음의 상처를 입히게 하는 것이다. -소학
아무리 작은 악이라도 악한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선한 일은 작다고 해서 하지 않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조열(照烈, 유비현덕)이 그 아들을 훈계하여 한 말. -소학
우(禹) 임금은 성인이지만 한 치(一村)의 시간도 아꼈다. 항차 범인은 한 푼(一分)의 시간도 아끼지 않을 수가 없다. 도간(陶侃)이 한 말. -소학
위험하고 높은 곳에 오르지 마라. 또 깊은 늪이나 산골에 가지 마라. 몸을 다쳐 부모가 걱정할까 해서이다. -소학
자손에게 재산을 남겨 주는 것은 단지 자손에게 게으름을 가르칠 뿐이다. 소광(疎廣)이 한 말. 한(漢) 나라 소광은 벼슬을 물러나면서 많은 돈을 받았으나 이 돈을 곧 써 버렸다. -소학
자신의 나쁜 점은 책망해도 좋으나 남의 결점을 책망해서는 안 된다. 여씨동몽훈(呂氏童蒙訓)에 있는 말. -소학
제갈공명(諸葛孔明) 같은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대장부라 할 수가 있다. 호안국(胡安國)이 제갈공명을 평한 말. -소학
지금 상당한 지위를 얻었음으로 가난할 때에 어버이에게 다하지 못한 효도를 지금 하려고 해도 어버이는 돌아가시고 안 계신다. 범중엄(范仲淹)이 아들에게 훈계한 말. -소학
참된 도덕이 세상에 밝게 되지 않는 것은 성인의 도와 다른 잘못된 이단설(異端說)이 이것을 해치기 때문이다. 정명도(程明道)가 한 말. -소학
간첩을 쓰는 데에는 다섯 가지 방법이 있다.
결단을 내리면 즉시 실천하라. 김은 새어나가기 마련이다. -손자병법
공부 잘한 사람만이 사회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배운 것을 응용할 줄 알아야 한다. -손자병법
교묘한 용병(用兵)이란 상산(常山)에 살고 있는 솔연(率然)이라는 뱀을 다루는 것과 같다.
군대를 이제 망하는 곳까지 투입해서야
군대에 충분한 군수품이 없으면 전쟁에 패하고 또 식량의 준비가 없이 싸우면 이 또한 패한다. -손자
군대의 형상은 마치 물이 흐르는 것에 비유된다. 물은 높은 곳을 피하고 낮은 곳을 달린다. 싸움도 또한 적의 주력을 피하고 그 허한 곳을 쳐야 하는 것이다. -손자
군사란 승리가 보이면, 강해지지만 패기를 보면 약해진다. -손자병법
군(軍)이란 잘 다스려져 있을 때 사소한 방심에서 난(亂)이 생기고 용맹을 뽐내고 있으면
궁즉통(窮卽通)이다. 궁한 적은 쫓지 말아야 한다. -손자병법
기선을 제압하면 주도권을 잡는다. -손자병법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남도 할 수 있다. -손자병법
누구에게도 자금은 무한한 것이 아니다. -손자병법
능란한 전법이란 적의 모략을 살펴 이것을 깨뜨리는 것이다. 여기에 다음가는 전법은 당면한 적이 서로 사귀고 있는 나라와 이간 시킨다. 즉 고립을 노리는 것이다. -손자
도망가는 것도 상책(上策) 중의 상책이다. -손자병법
둥근 바윗돌을 높은 산 위에서 굴리는 것처럼 힘들이지 않고 큰 힘을 발휘한다. 이것을 세(勢)라고 하는 것이다. 군대를 잘 싸우게 하려면 이런 세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손자
먼저 득과 실을 계산하여야 한다. -손자병법
모든 것은 전쟁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손자병법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 움직이는 것이 사람의 심리이다. -손자병법
백 리에 미치는 먼 곳에 군대를 진격시켜
백전백승(百戰百勝)이 좋은 것이 아니다.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손자
병(兵)이란 나라의 대사로써 생사(生死)의 땅이요 존망(存亡)의 길이니 잘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 -손자병법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상대를 알지 못하고 나만 알면 승패의 비율은 1:1이다. 상대를 알지 못하고 나도 알지 못하면 싸울 때마다 패배하기 마련이다. -손자
상황은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상황 판단이 승부를 결정한다. -손자병법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손자병법
싸울 수 있는 경우와 싸워서는 안될 경우를 아는 자는 승리한다.
싸움에서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이겨놓은 뒤에 싸운다.
싸움을 잘하는 사람은 먼저 이길 수 있는 준비를 다해 놓은 다음에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기회를 기다린다. -손자
싸워서 반드시 이긴다는 것은 최상의 용병이 아니다.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 최상이다. -손자
새가 뜻하지 않은 곳에서 날아오르면 반드시 거기에는 복병(伏兵)이 있는 것이고, 아무 일이 없는데도 짐승이 놀라 달아나면 거기에 적이 숨어 있다는 증거이다. -손자
새벽녘의 계획이 하루 일을 결정한다. -손자병법
선택은 신중하여야 한다. -손자병법
성을 공격한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희생이 따른 뿐이다. -손자병법
수가 많다고 강한 것은 아니다. -손자병법
아무리 전쟁에 교묘한 자라도 오래 끌어서 성공한 예를 본 적이 없다. -손자
아무리 튼튼하여도 약점은 반드시 있다. -손자병법
안정 속에 혼란이 있고, 겁 속에서도 용기가 생긴다. -손자병법
알고 덤비는 자에게는 임기응변의 방법밖에 없다. -손자병법
언제나 의심하고 경계하여야 한다. -손자병법
[이전 30개] [다음30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